노벤키(Nobenki)

마케팅이론

2

컨텍스츄얼(Contextual) 마케팅이란 무엇일까?

컨텍스츄얼마케팅이란 무엇일까? 일반적인 마케팅을 떠올려본다면, 고객에게 제품 혹은 서비스의 순기능이나 혜택, 가격 그리고 디자인 등을 보여줍니다. 고객의 관심 보다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초점을 설정하고 마케팅을 진행합니다. "우린 이런 기능들이 있으니, 필요하시다면? 구매하세요!" 이런 느낌이죠. 이러한 광고 방식이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전통적인 광고 방식이고 이러한 방식이 아직까지 유지될 수 있다는 건 이미 그 효과가 입증된 거죠. 그리고 과거부터 현재까지도 명부상실 효과가 있습니다. 컨텍스츄얼 마케팅 그렇다면 컨텍스츄얼마케팅은 무엇일까요? 간단한게 직역하자면 상황에 맞춘 마케팅입니다. 조금 더 들어가본다면 이전 제품에 초점이던 마케팅을 고객의 초점으로 이동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 이게 필요하..

AD & Marketing/이론 2020.12.22 nobenki

제품과 서비스의 대중화를 이끌어 가기 위한 마케팅 이론 <캐즘이론>

현대에는 수많은 혁신적인 기술들과 제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하지만 이런 혁신적인 기술들이 대중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대표적인 예시로는 아마 VR시장이 아닐까 싶네요.VR은 혹할만한 시장이지만, 컨텐츠 부족 등의 문제로 대중화를 이끌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물론 VR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제 생각에서 대중화가 늦다고 생각됩니다.. 캐즘의 이해 보통의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는 기술수용모델에 유사하게 적용이 되는데요.새로운 기술이 나오면 무조건 사용해보는 혁신가인 들과다른 이들보다 빠르게 기술을 수용하는 가 제품을 사용하죠.그리고 점차 대중들에게 넘어가는 구조의 표가 기술수용 모델입니다. 기술수용모델에서의 하지만 기술수용모델과 달리 얼리어답터에서 대중들에게 넘어가지 못하고 정체되..

AD & Marketing/이론 2019.02.08 nobenki